본문 바로가기
informative

기업가정신

by trini 2023. 8. 7.
반응형

기업가 정신은 기업가에게만 필요한 것이 아니라 대학생에게도 필요하다.
기업가도 성공하기 위한  꿈이 있었듯이, 우리들도 꿈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1. 왜, 그 꿈을 꾸는가? 
2. 그 꿈은 자신에게 얼마나 간절한가?
3. 그 꿈을 위해 무엇을 하고 있는가?
4. 없다면 왜인가?

를 생각해 봐야 한다.


공부가 인생의 전부는 아니지만, 학생의 본분이라는 것은 확실하다. 우리는 공부를 열심히 하고 있나? 성적은 잘 나오나? 이에 대해 깊이 생각해 보는 것이 필요하다.


대학 생활을 하면서 왜 꿈을 가져야 하는지, 그 꿈을 이루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 하는지가 확립되어 있어야 한다. 
기업가 정신이란, 미래를 예측할 수 있는 통찰력과 새로운 것에 과감히 도전하는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정신이다. 
기업가 정신의 사전적 의미는? 기업가의 시각에서 복잡한 세상 속에서 남들과 다른 시각과 역량을 갖춰 사회의 각종 자원을 적절히 활용하여 부가가치를 창출하여 기업의 이익을 남기고 세상에 기여코자 하는 강한 도전정신이라고 할 수 있다. 


취업이나, 창업이냐?
처음에는 취업을 해서 실무경험을 쌓고 창업을 해야 한다.
또 창업하려는 나이에 대해서 언제가 좋을지 생각해 봐야 하고, 사장의 자격이 구비되었을 때, 엄청난 노력과 엄청난 희생의 각오가 필요한 만큼 눈을 뜨고 눈을 감을 때까지 일한다는 마인드를 가져야 한다. 
어떤 것에 준비가 되어 있고, 흥미가 있는가, 다른 일로는 자신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는가?


대학생들은 무엇을 위해 살 것인가? 
삶의 목적이 살아가는 방향을 잡는 데에 있어서 , 의미있는 삶을 사는 데 있어서 중요하다. 
의미 없는 삶을 살아가면, 공허하고 지루하고 모든 일에 무관심하게 된다. 이로인해 방황하고 혼란스러워하면서 자기에 대한 자신감이 없어져서 쾌락주의, 냉소주의로 빠질 위험이 있다.
목적있는 삶을 사는 사람은 반대로 열심히 공부하는 사람이다, 열정과 집중으로 인한 좋은 결과로 인해 스트레스 대신에 큰 만족을 얻게 된다. 
직업을 가지고 일하면서 내 자신과 가족을 위해서 희생을 하면서도 어떻게 꿈을 추구할 수 있을까? 세상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긍정적이고 가치 있는 일을 할 수 있을까를 생각해야 한다. 


학교에서 배우는 것들은 전공과목에 대한 전공 지식, 곧 기본지식이다. 삶의 목적과 연결시키는 것은 학교에서 배울 수 없다. 그러나 이 기본지식은 사회생활의 가장 기초로 없어서는 안 된다. 그래서 학교에서는 기본지식을 많이 배워야 한다.

 

부모나 교수나 사회는 학생들에게 스스로 사회에서 필요한 인재는 능력(업무 수행 능력, 관련 직무 기초지식, 인성과 태도)이라는 것을 가르쳐야 한다. 대학생은 삶의 기초를 연마하며 길을 찾는 시기이다. 그러므로 관심이 있고, 하고 싶은 학과를 선택해야 한다. 기본적으로 영어와 컴퓨터 활용을 익혀야 한다. 그리고 공부가 아니더라도 무엇이든 열심히 하여 소중한 인생을 살아가야만 한다. 맡은 일에 어영부영하지 말고 최선을 다해 끝까지 가야 한다. 

우리는 미래를 예측할 수 없다. 그러나 자신만의 미래를 설정하고 만들 수는 있다. 회사에서 주어지는 일들은 별로 어렵지 않다. 마음만 있으면, 주어진 일을 잘하는 것은 그다지 어렵지 않다. 그러므로 좋아하는 일을 할 수 없다면, 하는 일을 좋아해야 한다. 어떤 업무에 대해 핑계를 삼지 않고 대충하면 안 된다. 열심히 치열하게 고민해야 한다.


대인관계는 상대의 입장을 이해, 존중하고 상생의 길을 추구해야 한다. 

대인관계가 좋다는 말은 결국 소통이 잘 된다는 것이다. 

적절한 거리를 유지해서 너무 친하게도, 너무 멀지도 않게 대하라 
독서를 통해서 자기 생각을 정리하고, 삶의 목적과 의미를 만든다면 몰입과 열정으로 일할 수 있을 것이다.

 

 

2023.08.08 - [분류 전체보기] - 기업가 정신은 어떻게 함양하는가?

반응형

'informativ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장인의 자세  (0) 2023.08.09
리더십과 보스십  (0) 2023.08.09
기업가 정신은 어떻게 함양하는가?  (0) 2023.08.08
창조경제와 창의성  (0) 2023.08.08
한의학과 중의학  (0) 2023.0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