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경제와 지식경제는 비슷한 개념이지만, 약간의 차이점이 있습니다.
지식경제는 지식과 정보를 기반으로 한 경제적 활동을 의미합니다. 지식기반 산업에서는 기업의 성공과 성장이 지식과 기술력에 의해 좌우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지식 경제는 이러한 지식과 기술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고, 경제 성장과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반면에 창조경제는 혁신과 창조적인 아이디어를 중심으로 경제적 가치와 일자리를 창출하는 경제 모델입니다. 창조경제는 일상적인 경제 활동보다는 창의성과 혁신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경제 활동에 반영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따라서, 창조적인 기술과 아이디어의 발전이 경제 성장의 주된 원동력이 되며, 이를 통해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습니다.
또한, 창조경제와 지식경제는 다른 산업 분야에도 적용되는데, 지식경제는 주로 과학기술, IT, 바이오 등의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지식과 기술의 능력을 인적 자원으로 가장 잘 활용하는 경제 활동을 의미합니다. 반면에 창조경제는 예술, 디자인, 문화, 엔터테인먼트 등 창의성과 창작 활동이 주로 이루어지는 분야에서 주로 발전하는 경제 모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두 개념은 서로 상호 보완적이기도 하고 중첩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지식경제에서는 새로운 지식과 기술이 창조경제를 위한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혁신을 이끌어내며, 창조경제에서는 기반 기술과 지식을 활용하여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하는 등 상호 연계가 이루어집니다.
요약하자면, 창조경제와 지식경제는 지식과 기술에 초점을 둔 경제 모델이지만, 창조경제는 주로 창의성과 혁신을 중심으로 새로운 가치와 일자리를 창출하는 경제 활동을 의미하는 반면, 지식경제는 지식과 기술을 기반으로 경제 성장과 일자리 창출을 추구하는 경제 모델을 의미합니다.
창조경제의 근본은 창의성인데,이 창의성을 구성하는 요소는 무엇일까?
1. 깊이 있는 전문성이 나오는 창의성
2. 새로운 각도에서 바라보는 창의적 사고
3. 내적인 동기부여
전문성과 창의성의 스킬을 갖고 있다 할지라도 내적인 동기부여가 약하다면 창의성을 발휘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창의적이 되기 위해서는 깊이 있는 전문성도 확보해야 하고 어떻게 하면 새로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지 적극적인 태도로 그러한 강한 의지, 의욕을 생성하고 유지해 갈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동시에 문제에 대한 색다른 접근법인 창의적인 사고 스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창의성의 별
창(创)의 의미는 비로소, 아프게 하는 창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곳간과 도끼로 이루어져 생각한다는 것인데, 곧 창은 곳간을 도끼로 파괴한다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그러므로 기존 생각의 파괴는 개인의 존재가치의 붕괴와 연결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의(意)는 마음에 소리를 내는 것, 또는 마음에 빛을 세우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무언가를 바꾸고자 하는 욕구가 무엇을 창조하도록 이끈다고 할 수 있다
팀 창의성의 요소란?.
혼자서는 어렵기 때문에, 팀을 구성하여 아이디어를 구현하자!
먼저 팀 창의성의 중요한 요소는
1. ‘창의적인 마찰’(확산적 사고) 창의적인 마찰을 하려면 나랑 똑같은 사람, 똑같은 성격, 똑같은 전공, 똑같은 배경이 모여서는 안 된다. 의도적으로 다양성을 심어줘야 한다.
2. ‘수렴하는 과정’으로 인해
3. ‘환경을 다져야 한다’-물리적 환경+심리적 환경
창조적인 자가 되기 위해서는 규칙과 자유 중 하나만 강조하는 것보다는 창조적인 팀이 되기 위해서는 이런 자유로움과 원칙, 규율들이 적절히 조화될 때 가능할 것이다.
'informativ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장인의 자세 (0) | 2023.08.09 |
---|---|
리더십과 보스십 (0) | 2023.08.09 |
기업가 정신은 어떻게 함양하는가? (0) | 2023.08.08 |
기업가정신 (0) | 2023.08.07 |
한의학과 중의학 (0) | 2023.08.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