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ducation

단어선택의 중요성

by trini 2023. 8. 7.
반응형

하청업체, 협력 업체, 외주업체 등등 하나의 단어가 가지는 의미는 같지만, 

말을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른 사람들의 인식의 차이는 엄청나다.

 

하청업체라는 단어를 사용했을 때 연관되어 자주 등장하는 단어들은 

노동자, 직장 내 괴롭힘, 차별, 규탄, 갑질, 스트레스, 사고 책임, 떠넘김 등등 

굉장히 부정적인 단어들이 함께 등장하게 되지만, 

 

 

협력 업체를 검색했을 때 가장 많이 보였던 단어는 ‘전문적’, ‘소개’라는 단어이다.

그냥 일을 시키는 곳이라는 단어가 협력 업체로 변했을 때는 

그 인식이 굉장히 수평적이고 평등, 혹은 그 이상의 느낌으로 바뀐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외주업체는 어떨까? 예전에 재직했던 직장에서도 외주업체라는 보편적으로 사용하곤 했는데,

그 인식은 연관되어 나타나는 단어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산재사고, 외면, 인권유린,’등등

부정적인 인식이 조금 강한 편 이다. 

이처럼 사회언어학적 측면에서 봤을 때, 같은 어휘들이 어떻게 쓰이느냐에 따라서, 그들이 속한 사회에서 그들이 어떤 인식으로 대해지고 있는지에 대해서 알 수 있다.

 

그리고 언어가 달라지면 그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들이 굉장히 바뀌게 될 것이다. 

 

 

2023.08.07 - [분류 전체보기] - 원어민 오류(the native speaker fallacy)

반응형

'Educ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어 실질형태소  (0) 2023.11.05
제주 방언의 존대법  (0) 2023.08.07
문장의 종류  (0) 2023.08.07
문장이란?  (0) 2023.08.07
한국어?  (0) 2023.0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