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47 문장이란? 1. 문장이란? 우리는 머리 속에 있는 생각을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한다. 표정이나 어휘를 통해서 혹은 분위기를 통해서. 그러나 완벽한 사고 전달은 문장을 통해서만 가능하다. 문장이 나타내는 완전한 사고는 대개 문장의 맨 끝에 나타나는 종결 어미로 표현된다. 문장 안에 서술대상과 서술표현이 여러 개 존재한다고 해도, 종결 표현이 하나만 있으면 그 문장은 분명히 하나이다. 결국 문장이란 의미상으로는 완전한 사고를 나타내며 형태상으로는 맨 끝에 문장 종결 표현이 있는 것을 가리킨다. 문장과 단어를 대조하여 설명하자면, ‘순이’라는 단어 하나로는 순이가 어떤 사람인지 알 수 없다. 단어라고 하는 것이 한 개체의 특성을 나타내는 것임에 비해, 문장은 개체가 ‘어떠하다’는 것을 나타내준다. 이러한 문장을 쪼개어 봤.. 2023. 8. 7. 한국어? 한국어(韓國語)는 대한민국과 북한의 공용어이다. 조선말, 한국말, 조선어로도 불린다. 세계 여러 지역에 한민족 인구가 거주하게 되면서 전 세계 각지에서 한국어가 사용되고 있다. 2016년 1월 기준으로 한국어 사용 인구는 약 8,000만 명으로 추산된다. 한국어의 계통에 관해서는 옛날부터 몽골어, 터키어, 카자흐어와 같은 알타이어족으로 분류하는 학설을 한국의 주류 학계는 받아들이고 있지만,주변 언어와 관계가 확인되지 않는 고립어 또는 제주어를 포함하는 독자적인 한국어족에 속한다고 보는 학자들도 존재한다. 그러나 고립어(language isolate)설 역시 다른 고립어들과는 궤가 다르고 한국어족도 제주어를 방언으로 포함할지 언어로 포함할지에 대한 의견이 갈라져 논거가 부족하며 한국어의 계통은 여전히 논란.. 2023. 8. 7. 원어민 오류(the native speaker fallacy) 원어민 오류(the native speaker fallacy)에 빠진 현세대의대의 교육학적 인식을 재고해 보자. 언어 교육의 현장에서는 선행 연구를 통해 언어교육의 측면에서 비원어민 교사만 이 가진 고유의 장점이 밝혀져 왔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고정관념에 빠져있다. 그런데도 비원어민 한국어 교사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안정민, 김재욱(2016)에게서는 국내 교육기관의 채용 공고를 집약하여 요구하는 자격요건에 대해서 정리하였는데, 외국어 능력을 갖춘 한국어 교사를 필요로 하는 교육기관에서는 영어나 중국어로 모집공고를 작성하여 게시하는 곳도 있었고, 한국어가 능력이 뛰어난 외국인 교사를 찾고 있는 곳도 있었다고 하였다. 전나영(2014)에게서는 원어민 한국어 교사의 해외 체류 비용적인 어.. 2023. 8. 7. 이전 1 ··· 9 10 11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