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50

제주 방언의 존대법 안녕하세요? 이 시간에는 표준어와 제주방언을 중심으로 한 존대법 비교에 대해 살펴보아요~^^ 상대높임법, 상대존대법, 상대경어법의 문법표준어와 제주방언의 공통점과 차이점입니다. 일반적으로 상대 존대는 청자인 상대가 화자보다 높은 사람일 경우화자가 자기보다 높은 상대인 청자를 존대해야 하는데 이처럼 화자가 자기보다 높은 청자인 상대를 언어적으로 존대하는 방법을 말합니다. 먼저 표준어에서 상대존대는, 주로-습니다, -요와 같이 종결어미나 조사로 표현됩니다. ‘-습니다’의 경우는 예의를 갖추거나 공식적인 상황에서 주로 사용해야 하는 상대 존대의 방법이고, ‘요’는 공식적이지 않은 상황이나 친근한 상황에서 친근함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하는 상대 존대 방법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표준어와 제주 방언을 비교하.. 2023. 8. 7.
단어선택의 중요성 하청업체, 협력 업체, 외주업체 등등 하나의 단어가 가지는 의미는 같지만, 말을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른 사람들의 인식의 차이는 엄청나다. 하청업체라는 단어를 사용했을 때 연관되어 자주 등장하는 단어들은 노동자, 직장 내 괴롭힘, 차별, 규탄, 갑질, 스트레스, 사고 책임, 떠넘김 등등 굉장히 부정적인 단어들이 함께 등장하게 되지만, 협력 업체를 검색했을 때 가장 많이 보였던 단어는 ‘전문적’, ‘소개’라는 단어이다. 그냥 일을 시키는 곳이라는 단어가 협력 업체로 변했을 때는 그 인식이 굉장히 수평적이고 평등, 혹은 그 이상의 느낌으로 바뀐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외주업체는 어떨까? 예전에 재직했던 직장에서도 외주업체라는 보편적으로 사용하곤 했는데, 그 인식은 연관되어 나타나는 단어를 보면 알.. 2023. 8. 7.
문장의 종류 우리는 문장을 통해서 좀 더 확실하게 생각이나 느낌을 표현할 수 있는데, 특히 다양한 종결 어미에 기대어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여러 가지 문장 종결의 방식을 문장 종결법이라 한다. 국어의 문장 종결 유형에는 평서형, 의문형, 명령형, 청유형, 감탄형이 있다. 평서형 종결 어미‘-다’ 의문형 종결 어미 ‘-느냐’, 명령형 종결 어미 ‘-어라’ 청유형 종결 어미 ‘-자’ 감탄형 종결 어미 ‘-구나’가 사용되고 있다. 이들은 각각의 문장 유형을 결정짓는 어미들이고, 화자와 청자의 관계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종결 어미로 변화된다. ♡문장 종결법 예문과 종결 어미! ① 평서문: 우리나라는 사계절이 뚜렷하다. 평서문은 화자가 청자에 대하여 특별히 요구하는 일이 없이, 자기의 생각만을 단순하게 전달하는 문장이다.. 2023. 8. 7.
문장이란? 1. 문장이란? 우리는 머리 속에 있는 생각을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한다. 표정이나 어휘를 통해서 혹은 분위기를 통해서. 그러나 완벽한 사고 전달은 문장을 통해서만 가능하다. 문장이 나타내는 완전한 사고는 대개 문장의 맨 끝에 나타나는 종결 어미로 표현된다. 문장 안에 서술대상과 서술표현이 여러 개 존재한다고 해도, 종결 표현이 하나만 있으면 그 문장은 분명히 하나이다. 결국 문장이란 의미상으로는 완전한 사고를 나타내며 형태상으로는 맨 끝에 문장 종결 표현이 있는 것을 가리킨다. 문장과 단어를 대조하여 설명하자면, ‘순이’라는 단어 하나로는 순이가 어떤 사람인지 알 수 없다. 단어라고 하는 것이 한 개체의 특성을 나타내는 것임에 비해, 문장은 개체가 ‘어떠하다’는 것을 나타내준다. 이러한 문장을 쪼개어 봤.. 2023. 8. 7.